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, 8월 한 달간 출생아 수는 2만98명으로 작년 8월에 비해 1,124명 늘었어요.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미뤄졌던 결혼이 2022년 중순부터 2023년 상반기에 집중되면서, 출생아 수가 늘어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해요. 출생아 수가 7월에 이어 8월에도 예상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면서 ‘’ 하는 얘기도 나오는데요, ‘작년 이맘때에 비해’ 늘었다는 것뿐이에요. 1~8월 누적 출생아 수는 15만8천11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(15만8천609명)에 비해 적어요.
일대일 부양사회가 예상돼요
지금까지와 같은 흐름으로 출생아 수가 줄어들면, 48년 뒤인 가 돼요. 세계 인구도 고령화돼, 전체 인구 중 고령인구 비중이 2022년 10.2%에서 2072년 20.3%로 증가할 전망인데요,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훨씬 가파릅니다. 이렇게 인구가 고령화되면 ‘경제의 허리’라고 불리는 생산연령인구(만 15~64세)의 부양비 부담이 커져요. 생산연령인구 100명 당 부양인구 수는 올해 42.5명에서 2072년 118.5명으로 늘어날 거라고 해요. ‘’가 찾아오는 거죠.
JYP 한마디
📢 지금 같은 추이라면 2072년 한국 인구는 3600만 명 수준으로 줄어들 거예요. 인구 감소 문제가 한국에서 유달리 심각하지만,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해요. 세계적 석학들은 이런 변화를 두고 “인류의 자발적 선택으로 인한 결과”라며 “한국의 저출산을 단순히 당장 해결되어야 할 ‘문제’가 아니라 ”고 말해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