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이제 너는 이 집에서 평생 살면 아무 걱정 없겠다.”
“…?”
아니, 어떻게 한 집에서 평생을 사나요? 생물학적 나이로만 따지면 저는 살아온 날들보다 살아갈 날이 더 많이 남은 사람인데요. 앞으로 제 삶에 어떤 변수가 생길지 알 수 없는데, 지금 사는 집에서 평생을 산다는 생각을 한다고요?
물론 이모는 덕담이라고 생각해 건넨 말입니다. 저 역시 이모의 말에 조금도 기분이 나쁘지 않았고요. 다만, 아무것도 모르던 집 매매 입문자 시절의 제가 떠올라 가슴이 아팠어요. ‘이 집에서 평생 살면 되겠다’는 생각을 했던 게 과거의 저였거든요. 결국 부동산에 아무런 관심도 두지 않은 채 부동산 시장과 정반대의 흐름을 걷게 되었죠.
님, 처음부터 평생 살 집을 구하지 마세요. 생각보다 더 위험한 발상입니다. 그 생각이 나의 이동과 도전을 가로막아요. 저의 경험담을 통해 이 내용을 더 자세히 들려드릴게요.
체크 포인트 1.
처음부터 마음에 드는 집을
살 수 있으세요?
집을 사는 건 정말 큰 일입니다. 부동산을 업으로 하거나, 부동산 투자에 전문적으로 나서는 사람이 아닌 이상, 인생에서 몇 안 되는 큰 이벤트죠. 그래서 집 매매를 자주 한다는 생각 자체를 하기가 어렵습니다. 게다가 자주 이사 가는 게 힘들어서 내 집 마련을 하려는 것도 있으니까요.
내 집 마련을 하려는 데 한 주거지에서 나름의 뿌리를 내리려 하는 목적이 다분히 섞여 있다는 것도 이해합니다. 저도 그랬으니까요. 그래서 아주 오래된 반지하 빌라를 사면서도 ‘오래오래 살아야지’ 생각했어요. 너무 소중한 내 ‘첫’ 집이었기에 그 마음이 더 강했죠.하지만 ‘소중한 것’과 ‘불편한 것’은 별개의 문제입니다. 저는 첫 집에서 오래 살겠다는 생각이 제 발목을 잡았어요. 불편한 걸 자꾸 참게 만들었거든요. 가파른 언덕도, 측간 및 층간 소음도, 불편한 환기 시스템도, 작은 화장실도, 최악의 주차도 무턱대고 참았습니다. 정말 미련한 짓이었죠.
불편하면 사는 곳을 옮겨야 합니다. 참을 이유가 없어요. 더 나은 삶을 위해 내 집을 마련한 건데 왜 불편을 참아야 하죠? 내가 가진 돈으로 더 괜찮은 조건의 집이 있는지도 모르는데, 안 될 거라고 지레짐작하며 엉덩이 무겁게 자리를 지키고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.
‘오래오래 살아야지’라는 생각이 나도 모르게 참고 견디는 걸 택하게 만들어요. 이건 더 좋은 집을 마련할 기회를 나도 모르게 막는 위험한 생각입니다. 살다가 불편하면, 집이 나와 잘 맞지 않는다면, 언제든 집을 팔고 이사를 할 수 있어야죠. 더 좋은 곳이 분명 있습니다.
📌 생각의 전환을 위한 팁 1
첫 집은 최대한 짧게 머무르는 게 좋습니다. 처음부터 마음에 드는 집을 사기가 어렵기 때문이죠. 내가 가진 예산 내에서 겨우 마련하는 게 첫 집입니다. 이것저것 불편한 게 많을 거예요. 내 집을 마련한 뿌듯함이야 이루 말할 수 없겠지만, 이곳에서는 평생 산다는 생각 말고 빨리 돈을 모아 더 나은 곳으로 갈 거라는 결심을 해주세요.
게다가 첫 집은 선택의 미숙함이 많이 작용한 곳일 수 있습니다. 아주 운 좋은 케이스가 아니라면, 처음으로 집 매매를 경험하면서 내가 미처 체크하지 못한 하자가 있을 수밖에 없거든요. 첫 선택에는 당연히 실수가 섞일 수 있다는 걸 인정하고, 가능한 한 빨리 그 실수를 수정하겠다는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. 처음부터 완벽한 선택을 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더 나은 곳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어요.
체크 포인트 2.
세금과 이사비가 아깝다고요?
집을 사고파는 것에는 ‘세금’이 듭니다. 내 집이든, 남의 집이든 이사를 하면 ‘이사비’라는 것도 들고요. 그래서 자주 이사를 하면 돈이 샙니다. 이동 자체가 돈이기 때문이죠. 하지만 그 돈을 너무 아까워하지는 마셨으면 좋겠습니다. 적은 돈 아끼려다 좋은 기회 다 놓칩니다.
두 아이를 가진 제 친구의 사례입니다. 친구는 아이가 어릴 때 전셋집에 들어가, 이사 간 지 딱 보름 만에 나왔습니다. 도로변으로 난 창문으로 계속 매연이 들어와 건강을 위협했기 때문이에요. 짐을 풀기도 전에 다시 이삿짐 업체를 부르고, 중개비를 들이면서까지 옮겼습니다.
이후에도 그 친구는 사는 환경이 더 나은 집으로 계속 이사를 했어요. 계약 기간을 채우든 말든, 세금이 얼마가 들든 살기 불편하면 과감히 이사했어요. 다행히 더 나은 곳으로 옮기기 위해 이사를 할 때마다 집값이 오르는 결과가 따라왔습니다. 집값 상승을 목표로 한 건 아니었는데, 더 좋은 집을 찾아 이사를 하니 집값이 오를 수밖에요. 지금은 아이들 학군까지 고려한 마포구 아파트에 자가로 거주 중입니다.
저는 어땠을까요? 네, 그 반대였습니다. 고지식하게 전세 계약 기간은 무조건 채워야 하는 거라고 생각했어요. 안 그러면 내가 집을 내놔야 하니 중개비가 드는데, 굳이 쓰지 않아도 되는 돈이라고 판단했죠. 그리고 일단 거주지가 확보되면 ‘집 문제가 해결됐다’라고 생각하고, 더 나은 집을 찾아보려는 생각은 하지도 않았습니다.
그 결과, 제집만 빼고 다 가격이 올랐습니다. 더 정확히는 제집보다 더 나은 집만 오른 거겠죠. 더 나은 환경을 찾아볼 생각도 하지 않았던 저는 집값 상승 기회를 만나볼 기회조차 없었습니다.
📌 생각의 전환을 위한 팁 2
‘소탐대실’이라고 하죠. 눈앞의 몇백만 원을 아끼려다 좋은 집을 잃는 선택을 하지 말아주세요. 가장 최고의 부동산 투자는 더 나은 곳으로의 이동입니다. 그렇다고 반드시 상급지로, 무리해서라도 이동하는 걸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말은 아닙니다. 불편한 점이 있다면 더 나은 곳으로 언제든 옮기겠다는 의지, 그리고 계약 기간을 모두 채우지 않아도 이사가 가능하다는 유연한 생각을 하셔야 한다는 뜻이에요.
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너무 아까워하지 마세요. 그 돈은 내가 더 나은 선택을 하게 해주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합니다. 언제든 마련할 수 있는 이사비가 아까울까요, 아니면 다시 오지 않을지도 모르는 그 기회를 놓치는 게 더 아까울까요? 그 답은 이미 아실 거예요. 이 답을 최근에서야 발견한 저는 전세 계약 1년 만에 집을 나와 더 나은 환경으로 이사를 강행했습니다. 지금은 제 선택에 굉장히 만족하며 살고 있어요.
체크 포인트 3.
이미 익숙해진 동네가
더 좋다고요?
거주지를 옮기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있습니다. 내가 잘 아는 곳이 편한 건 사실이지만, 그렇다고 한 곳에서 쭉 사는 게 무조건 좋을까요? 여기서 우리는 ‘익숙한 것’과 ‘편리한 것’의 차이를 잘 알아야 합니다.
저는 경기도 외곽에 위치한 한 아파트에서 무려 7년을 살았습니다. 점점 동네가 익숙해지더니 나중엔 정도 들더군요. 저는 그 집에서 평생 이사도 가지 않고 살려고 했습니다. 나중엔 그 집으로 주택연금까지 받을 생각이었죠.그런데 익숙해지는 것과 별개로 그 집에서 살면 살수록 불편했습니다. 저는 서울에서, 특히 강남 쪽에서 일할 일이 많았는데요. 경기 북부 외곽에서 강남으로의 이동은 저를 지치게 했습니다. 시간이 돈인 프리랜서에게 이동 시간이 긴 건 너무 불리했죠. 그 사실을 만 7년이 지나서야 깨달았습니다. 제가 지나치게 둔했던 탓인데, 주위를 둘러보니 저처럼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익숙한 동네에 머무는 분들이 제법 계시더라고요.
나의 불편함을 익숙함으로 덮지 말아 주세요. 그 기간이 길면 길수록 나만 손해입니다. 집값 상승에서 격차가 벌어지는 것은 물론이고, 불편하게 산 지난날의 내 세월도 보상받지 못해요. 익숙하다고 다 좋은 게 아닙니다. 익숙함 사이에 불편함이 섞여 있다면 그걸 개선하기 위해 기꺼이 움직일 수 있어야 합니다.
📌 생각의 전환을 위한 팁 3
tvN 프로그램 <신박한 정리>에 나오는 공간 크리에이터 이지영 대표가 이런 말을 했어요. 무거운 가전제품이나 가구보다 더 옮기기 힘든 게 바로 ‘생각’이라고요. 익숙하다는 이유로 계속 같은 거주지를 고수할 필요가 전혀 없어요. 불편한 점이 있는데 왜 굳이 그걸 감수해야 하나요? 하루라도 빠른 의사 결정과 실행이 내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준다는 사실을 항상 기억해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