🎬 Scene #1.
돈 주고 물을 사 먹는
시대가 온다더니
옛날 사람: 아니, 물을 돈 주고 사 먹는다고?
요즘 사람: 그럼 물을 공짜로 먹어요? 물을 어디서 구해서 공짜로 먹어요?
옛날 사람: 우물물? 수돗물? 어쨌든 물은 사 먹는 게 아냐! 라떼는 말이야. 물을 돈 받고 파는 게 불법이었다고!
요즘 사람: 네에에에에에?!
물을 돈 받고 파는 게 불법이었던 건 조선 시대나 1950~1960년대 이야기가 아니랍니다. 생수 사업은 1995년에야 비로소이 되었거든요. 예전 어른들은 실제로 ‘이러다가 물도 돈 주고 사 먹겠다’라는 말을 농담처럼 하곤 했어요. 당시에는 이런 얘기들이 말 그대로 ‘농담’이었죠.
그렇다면 생수 사업이 합법이 되기 전까지 시장에서는 왜 물을 팔지 않았을까요? 그 배경을 간략하게 정리해보자면 이렇습니다. (당시 정부가 생수 사업을 금지했던 이유는 라떼극장 맨 마지막에 알려드릴게요!)- 대다수 사람들이 물을 ‘상품’으로 인식하지 않았고,
- 그러한 대중적 인식을 고려했을 때 물을 판매할 경우 부작용이 우려되었으므로
- 이것이 법에 영향을 미쳐, 팔면 안 된다는 규정이 있었던 거죠.
그러다 이 모든 암묵적, 명시적 합의가 동시에 깨지고, 법이 바뀌고, 새로운 시장이 생겨난 한 사건이 있었으니, 바로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입니다.
꽤 괜찮은 수돗물을
잘 마시지 않는 이유
사실 우리나라의 수돗물 품질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랍니다. WHO의 166개 기준을 모두 통과할 뿐 아니라 국내 기준은 300개로 세계 기준보다 훨씬 꼼꼼하기도 합니다. 집집마다 수돗물 수질검사를 무료로 해주기도 하죠.
우리나라는 1960년대까지 했고, 1970년대까지도 서울에서 우물물을 길어 마시는 동네가 있었습니다. 지금은 상상할 수 없는 일들이죠?
2023년 기준 서울의 수돗물 직접 입니다. 우리나라보다 비교적 낮은 수질을 제공하는 프랑스나 미국, 일본 등이 50~70%의 직접 음용률을 자랑하는데 말이죠.
우리나라 정수기 시장은 이미 2008년에의 시장이 됐고 현재는 까지 성장했습니다. 이렇게 요즘 사람들이 대부분 정수기를 사용하는 뭘까요? 이 품질 좋은 수돗물을 ‘끓이거나 정수하지 않으면 그대로는 못 마신다’라고 생각의 근거는 어디서 오는 걸까요? 수돗물을 그대로 마신다면 정수기 렌탈 비용도 안 내도 되고, 편의점에서 생수 사 먹을 일도 줄어들 텐데 말이에요.
수돗물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결정적인 사건이 있었습니다. 바로 ‘’이에요. 낙동강은 경상남·북도 인구 천만 명의 식수원입니다. 1990~1991년 사이 두산전자에서 낙동강 상류에 페놀 325t을 불법으로 방류하는 바람에 큰 문제가 되었죠.
🎬 Scene #2.
1991~1994년
낙동강 페놀 유출 사건
어피티: 피해 규모는 얼마나 됐나요?
피해 주민: 그걸 잘 몰라요. 사망자가 나오거나 하는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.
어피티: 일단 인명피해가 없는 건 다행이긴 한데…
피해 주민: 직접적인 피해자가 없었던 건요, 페놀 탄 수돗물이 충분히 위험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대놓고 악취가 나니까 다행히 아무도 안 마셔서 그런 거예요.
페놀은 나일론, 제초제, 세제 등의 원료가 되는 화학물질입니다. 소량이라도 피부 접촉이나 흡입, 음용 등으로에 이를 수 있습니다. 2차 세계대전 때 나치독일이 사용한 독가스의 원료이기도 해요. 이런 화학물질이 사람들이 마시는 수돗물에 들어갔다고 생각하니, 정말 아찔하죠.🎬 Scene #3.
사건의 수습과
그 결과
어피티: 그럼 어떻게 수습됐나요?
피해 주민: 처음엔 공무원 7명이랑 두산전자 직원 6명 구속하고, 나머지 관계자들은 징계받았어요.
어피티: 네? ‘처음’에요?
피해 주민: 환경부(당시 환경처)에서 두산전자 얼른 수출해야 한다고 바로 조업을 재개시켜줘서 보름 만에 또 페놀이 낙동강에 흘러들어갔거든요.
어피티: 수출이 중요한 게 아닌데… 그래서요?
피해 주민: 난리가 났죠. 당시 두산그룹 회장은 경영권 포기하고, 환경부장관은 됐어요.
어피티: 그랬군요.
피해 주민: 수돗물 못 믿는 건 물론이고, 맥주도 믿을 수가 없었죠.
이때까지 두산그룹은 사실 맥주나 김치, 햄버거를 주요 상품으로 하는 소비재 기업이었습니다. 하지만 페놀유출사건이 터지고 나서는했죠. 그 맥주가 바로 지금은 외국계 기업에 인수된 입니다. 부동의 1위였던 OB맥주가 크라운맥주에 밀려나는 순간이었어요.
그렇게 두산그룹은 소비재 기업에서 중공업과 건설로 방향을 틀어버리고, 사람들은 웬만하면 수돗물을 안 마시게 되어버렸습니다. 이런 분위기가 지속되자 정부도 그때까지는 불법으로 규제하던 생수 사업을 합법으로 만들어줄 수밖에 없었죠.
*다음 주 화요일(1/30) 머니레터에서 이어집니다.